미국 국채 ETF 종류와 순위 비교(feat. 배당률, 레버리지 2배 3배)

 

 

2022년, 미국 금리가 말그대로 ‘급상승’을 하면서, 반대로 채권 가치는 급락을 했는데요. 또, 한국과 미국 금리차가 2% 이상 벌어지고, 경기 침체를 넘어서, 경제 위기, 금융 위기가 올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등, 미국 국채의 매력은 나날이 늘어나는 판국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국채 ETF 종류와 순위 비교를 해보고, 미국 채권 ETF 시가배당률은 얼마나 되는지, 레버리지 2배, 3배 상품은 무엇이 있는지 등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국채 ETF 종류와 순위 비교

 

국내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채 ETF,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채 ETF를 나눠서 종류와 순위를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상장

국내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채 ETF 중, 주요 상품 5개를 소개합니다.

이름 거래량 최근 1년 수익률 특징
Kodex 미국30년국채울트라선물(H) 942,393주 -9.73% 환헤지 상품
TIGER 미국채10년선물 53,779주 5.89%  
Kodex iShares 미국인플레이션국채액티브 37,704주 6.16% 물가연동채권
Kodex 미국10년국채선물 29,648주 3.62%  
Kodex 미국30년국채울트라선물인버스(H) 15주 11.95% 인버스, 환헤지 상품

거래량 기준으로 봤을 때, KODEX 미국30년국채울트라선물(H) 상품이 가장 높은 순위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수익률로 봤을 때는 가장 낮은 수익률을 보였는데요.

2024년 들어, 미국 채권 금리가 발작을 하는 등, 금리 상승 기조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수익률이 낮게 기록되었습니다. 게다가 환헤지 상품이기 때문에, 최근 많이 오른 원달러환율 수익을 반영하지 못 한다는 점도 수익률을 크게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고 보여집니다.

최근 1년 원달러 환율 추이 그래프

아울러, 그 외 미국채10년선물 상품들은 3~5% 수익률을 기록하였는데, 이 수익 또한, 금리가 상승하여 채권 가격이 떨어졌지만, 원달러 환율이 올라, 기록된 수익으로 보여집니다.

따라서, 가장 매력적인 상품은 물가연동채권인 ‘Kodex iShares 미국인플레이션국채액티브’이 ETF 상품이 개인적으로 가장 매력있어 보이네요.

 

미국 상장

요즘에는 미국에 상장해 있는 ETF에 직접 투자하는 경우도 많죠? 일일 평균 거래량, 운용 규모 등에 따라, (미국채 포함) 어떤 채권 ETF 상품이 가장 인기가 많은지 순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평균 거래량

이름 티커 일일 평균 거래량 특징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TLT 38,591,828 중장기채권
iShares iBoxx $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 HYG 36,613,952 회사채, 월배당
Shares iBoxx $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 ETF LQD 24,330,660 회사채
Invesco Senior Loan ETF BKLN 11,751,771 회사채, 월배당
iShares Core U.S. Aggregate Bond ETF AGG 7,614,220 다양한 채권에 분산투자(국채, 회사채 등)

하루 평균 거래량을 기준으로 TLT, HYG, LQD, BKLN, AGG 순으로 높은 순위를 보여줬습니다. 각 상품마다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의 자산 분배 전략에 따라, ETF 상품을 매수해야겠지요.

운용 규모

이름 티커 운용 규모 특징
iShares Core U.S. Aggregate Bond ETF AGG $108,472 다양한 채권에 분산투자(국채, 회사채 등)
Vanguard Total Bond Market ETF BND $106,839 다양한 채권에 분산투자(국채, 회사채 등)
Vanguard Total International Bond ETF BNDX $56,152 전세계 채권 투자, 환헤지 상품
iShares 20+ Year Treasury Bond ETF TLT $52,926 중장기채권
Vanguard Intermediate-Term Corporate Bond ETF VCIT $45,973 회사채, 월배당

얼마나 많은 금액이 ETF 상품에 들어가 있는지, 운용 규모를 기준으로 매긴 순위입니다. AGG, BND, BNDX, TLT, VCIT 순서대로 가장 높은 운용 규모를 보였습니다.

 

미국 국채 ETF 배당률

이번에는 시가 배당률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미국 국채 ETF 상품 3개지인 BND, AGG, TLT의 시가배당률은 얼마나 될까요?

  • AGG: 3.72%
  • BND: 3.67%
  • TLT: 3.89%

미국 국채 ETF 레버리지 투자는? (2배, 3배 추종)

미국 채권 가격의 상승에 강력하게 베팅을 하고 싶다면, 레버리지 상품을 이용할 수 있는데요. 국내 상장 ETF 중에서는 Kodex 미국30년국채울트라선물(H) 같은 상품을 이용할 수 있겠습니다.

TMF 서학개미 고점에서 물린 사례 뉴스

아울러, 미국에 상장되어 있는 미국채 ETF 레버리지 상품은 TMF가 가장 대표적(TLT 상품의 3배 추종)인데요. 하지만, TMT 같은 경우에는 안 그래도 변동성이 심한 중장기 채권에 3배 레버리지까지 들어갔기 때문에, 조심해서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 채권 투자, 추천 내용

미국 국채 ETF 상품 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내용을 추천합니다.

1. 키움증권 환전 방법 알아보기(feat. 수수료 우대 95%)

키움증권과 국민은행을 이용하면, 외화 환전 수수료를 최대 95%까지 우대받을 수 있는데요. 게다가 항시 적용이 되어, 개인적으로도 아주 요긴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키움증권 환전 방법과 환전 수수료 95% 우대받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키움증권 환전 방법 알아보기(feat. 수수료 우대 95%)

 

2. 키움증권 달러 입금 및 출금 방법(feat. 외화이체 시간)

키움증권 MTS 어플을 이용하여, 달러 입금 및 출금하는 방법과, 키움증권의 외화이체 가능 시간에 대한 내용입니다.

키움증권 달러 입금 및 출금 방법(feat. 외화이체 시간)

 

마무리 정리

국내 상장, 미국 상장되어 있는 미국 국채 ETF 중, 펀드 운용규모, 일일 평균 거래량 등에 따라, 미국 국채 ETF 순위를 정리해 보았고, 그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미국 국채 ETF 종류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채권 투자는 안전한 투자의 상징이긴 하지만, 요즘 같이 금리가 요동치는 시기엔 보수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는데요. 아무쪼록 성공적인 투자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Leave a Comment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